AK-47 소총은 어떻게 악마의 무기가 되었을까?
- 밀리터리
- 2018. 7. 29. 06:00
구소련 시베리아 출신의 28살 청년 '미하일 칼라시니코프'는 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키예프 사단의 전차병 중사로 전쟁에 참가했다.
*미하일 칼라시니코프
그리고 1941년, 청년은 러시아 서부의 브랸스크에서 독일 기갑부대와 마주했다. 전차 안에 있던 그는 전황을 살피기 위해 밖으로 몸을 내밀었다. 그때 독일군의 포탄이 날아와 청년이 탄 전차를 명중 시켰고, 청년은 왼쪽 견갑골이 뚫리는 부상을 입는다.
전투가 끝나고, 그는 다른 부상자 약 20명과 함께 트럭으로 후송되었는데, 그 트럭마저 습격을 당해 대부분의 동료가 목숨을 잃었다. 당시 독일군은 자동으로 연속 사격을 할 수 있는 단기관총을 보유하고 있었고, 소련군 보병은 한 발 발사할 때마다 손으로 '볼트핸들'을 당겨야 하는 연발식 총을 사용했기에 질 수밖에 없는 싸움이었다.
주검 더미 사이에서 청년은 전우들을 잃지 않겠다는 오로지 하나의 이유로 자동소총을 개발하기로 마음먹었다.
애초 전쟁에서의 총은 멀리 있는 표적을 쓰러뜨리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므로 총은 크고 무거워도 상관없었고, 한 발 발사할 때마다 목표물을 재조준해야 했기에 연속적으로 발사될 필요도 없었다. 그러나 적을 눈앞에 둔 상황에서 큰 총은 무용지물이었다. 예컨대 러일전쟁 당시 203고지 쟁탈전에서는 양쪽 병사들이 총을 거꾸로 쥐어 곤봉처럼 들고 육탄전을 벌였다.
1차 세계대전에서 대포와 폭격기가 개발되며 총의 소용은 더욱 떨어졌고, 작고 가볍고 좁은 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연속 발사가 가능한 총에 대한 요구가 생겼다.
그리하여 독일이 권총의 변형 'MP(Machine Pistol·자동권총)'를 먼저 만들었다.
2차 세계대전에서 청년 칼라시니코프는 MP의 무력에 당했고 AK47을 개발했다. 전문적으로 배우진 않았지만 기계 다루기를 좋아한 칼라시니코프는 전쟁이 아니었다면 자동소총의 설계도 대신 농업용 트랙터의 설계도를 그렸을 것이라고 말한다.
그는 자신이 개발한 총이 전쟁에 쓰이기 위해 국가에 채택될 줄은, 급기야 독일의 G3, 미국의 M16과 함께 3대 돌격 소총으로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쓰이게 될 줄은 더더욱 몰랐을 것이다.
*M16
*AK47
AK47은 부품 수가 8개밖에 되지 않는다.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분해하고 청소하고 다시 조립하는 데 15분밖에 걸리지 않는다. 한두 시간이면 누구나 배울 수 있을 정도로 조작이 쉽고, 혹한·혹서는 물론 습기와 모래 등 이물질에도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다 보니 AK47은 큰 전쟁이 끝나고도, 개발자의 본의와 다르게 나이와 성별, 직업을 불문한 이들을 폭력의 현장으로 내모는 '악마의 유혹'이었다.
구소련은 동유럽 국가를 비롯한 20여 개국에 특별한 조건 없이 AK47 생산 라이선스를 줬다. AK47 생산을 시작한 나라들은 나중에는 자국의 형편에 맞춰 마음대로 수출과 지원을 시작했고, 무기 수출의 국제적인 규칙을 무시하고 돈만 된다면 누구에게든 팔아넘겼다.
그리고 현재 AK47은 1억 정이 넘게 생산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고, 냉전에서 소말리아 해적에 이르기까지 현대사의 크고 작은 분쟁이 있는 곳에는 언제나 AK-47 소총이 함께 하고 있다.
'밀리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뜻밖의 활약으로 퇴역하지 못한 미국의 고물 군용기 (0) | 2018.07.31 |
---|---|
일본 잠수함이 미 군함의 감자(?) 공격에 격침된 사연 (0) | 2018.07.30 |
전장 환경에 따라 진화하고 있는 공수부대의 핵심 장비 (0) | 2018.07.28 |
1정당 300만 원이 넘는 미 해병의 차세대 소총 (0) | 2018.07.26 |
각개전투를 중시하는 지금도 제식 훈련이 필요한 이유 (0) | 2018.07.25 |
이 글을 공유하기